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20120117 :: OSX의 메모리 상태 보는 법

20120117 :: OSX의 메모리 상태 보는 법

맥은 얼마 쓰지도 않아서 메모리를 다쓴다?
윈도에서 맥으로 넘어와서 버리기 힘든 나쁜 습관 중 하나는 메모리의 상태를 걱정하는 일이다. 무슨 소린고 하니 마치 메모리 먹는 괴물처럼 맥은 시스템에 달린 램을 거의 대부분 써버린다. 시스템의 메모리는 활성상태보기(activity)라는 앱을 실행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보면 “여유 메모리”에 진짜 여유가 있는 경우가 좀처럼 없기가 십상이다.

그래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주는 앱들도 유/무료로 많이 팔리고 있는 중인데, 꼭 이런 앱을 돌릴 필요가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물론 윈도에서의 메모리 확보 프로그램과는 달리, 이 앱들은 시스템에 해악을 끼친다고는 생각되진 않는다. 아무튼 이러한 일종의 ‘오해’는 맥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메모리 정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먼저 활성상태보기 앱을 실행해보면 시스템 메모리가 현재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여유공간 : 말 그래도 여유공간이다. 시스템 메모리 중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와이어드 : Wired 상태의 메모리는 특히 앱의 실행 코드가 올라가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위의 가상메모리 공간으로 스와핑이 불가능하다.
  • 활성 : 활성 메모리 영역은 앱들이 정보를 올려두고 사용하는 공간이다.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이 된다면 시스템은 이 영역의 데이터 중 당장 사용되지 않는 내용들을 가상 메모리로 옮겨주게 된다.
  • 비활성 : 아마 시스템을 사용하다보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게 되는 메모리 공간이다. 비활성 메모리는 최근에 종료한 앱이 사용했던 공간이다. 이 부분을 바로 해제해서 여유 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사용자는 동일한 앱을 빈번히 종료/재시작하므로, 비활성 메모리에 이전 앱이 사용하던 정보를 남겨두면, 그 앱을 재실행할 때 빠르게 구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이 공간을 free 하여 필요한 메모리를 즉시 확보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 나도는 메모리 확보용 앱은 이 비활성 메모리 영역을 해제해주는 것외에 하는 내용은 없다.

따라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은 “여유공간 + 비활성”의 크기 만큼이 되겠다. 그리고 이 두 영역을 합해도 필요한 메모리보다 부족하다면 시스템은 활성 메모리 중의 일부를 디스크로 옮겨서 필요한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의 크기가 VM이며, VM에 대해 얼마나 액세스했는가 하는 정보가 페이지출력/입력에 표시된다.
이 페이지 입력/출력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메모리가 필요해서 그 만큼 페이징을 했다는 이야기이며, 하드디스크는 램에 비해 훨씬 더 속도가 느리므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체감 성능이 떨어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정도까지로 메모리를 사용하는 케이스는 좀 드물다.
맥이 메모리를 99%, 100%까지 쓰는 것은 메모리를 잘 못 관리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만큼 메모리를 잘 활용하고 있는 (그것도 극대화하여 사용) 증거이므로 굳이 메모리 관리 앱을 사용하여 여유 공간을 수동을 매번 잡아줄 필요는 없다.
덧 : 이는 몇 번 지적한 내용인데, 윈도용 메모리 확보 프로그램은 맥으로 치면 현재의 활성상태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디스크의 스왑공간으로 강제로 옮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여유공간이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필요이상의 하드디스크 액세스를 발생시키므로 오히려 앱을 사용하는 속도는 느려진다. 윈도에서의 메모리 관리도 시스템이 관리하는 것이 가장 낫다고 생각된다. 단, 윈도는 메모리 여유 공간이 제법 남아 있는 상황에서도 가상메모리로 페이징하는 일이 빈번하여 되려 같은 체감성능을 제공하는데 있어 더 많은 램 크기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자료 : http://support.apple.com/kb/HT1342?viewlocale=ko_KR&locale=ko_KR